Beyond Frontend

API 테스트 도구: POSTMAN 본문

Frontend Essentials

API 테스트 도구: POSTMAN

dietgogo 2025. 9. 7. 20:03

API, 대체 뭔가요? 왜 테스트해야 하죠?

여러분, 혹시 'API'라는 말 들어본 적 있나요? 요즘 우리 주변의 많은 소프트웨어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때 꼭 필요한 존재가 바로 API예요. 복잡한 프로그램들이 부드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돕는 일종의 '다리'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돼요. 스마트폰 앱에서 날씨를 확인하거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 정보를 볼 때, 이 모든 과정에서 API가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중요한 API를 왜 굳이 '테스트'해야 할까요? 잘 만든 다리라도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면 튼튼한지 확인해야 하는 것처럼, API도 제대로 작동하는지 꼼꼼히 점검해야 해요. api 테스트는 문제가 생길 부분을 미리 찾아내 고치는 데 도움을 주고, 전체적인 개발 과정을 훨씬 효율적으로 만들어줘요. 덕분에 여러분이 사용하는 앱이나 서비스가 오류 없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거죠.

 

 

Postman, 어떻게 탄생해서 이렇게 유명해졌을까요?

postman은 2012년, 한 개발자의 작은 아이디어에서 시작했어요. 당시 야후에서 일하던 Abhinav Asthana는 api 테스트가 너무 번거롭다고 생각했고, 이 과정을 쉽게 만들 방법을 고민했죠. 그래서 탄생한 것이 바로 postman입니다. 처음에는 크롬 웹 스토어의 무료 확장 프로그램으로 배포되었는데, 개발자들의 실제 어려움을 해결해 주면서 빠르게 인기를 얻기 시작했어요.

 

 

postman의 진짜 성장은 단순한 테스트 도구를 넘어 API 개발의 모든 과정을 돕는 플랫폼으로 진화하면서 시작되었어요. 이제 postman은 API를 설계하고, 만들고, 테스트하고, 문서화하고, 심지어 문제가 없는지 계속 지켜보는 모든 단계를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이 되었죠. 전 세계 3천만 명이 넘는 사용자와 50만 개 이상의 기업이 postman을 사용하고 있다고 하니, 정말 대단하죠?

 

 

postman은 개발자들의 개인적인 필요에서 시작해, 점점 더 많은 기능을 추가하며 '도구'에서 '플랫폼', 그리고 '생태계'로 발전했어요. 최근에는 다른 회사들을 인수하면서 API 개발과 관련된 모든 분야를 아우르려는 야심을 보여주고 있답니다. 하지만 이런 끊임없는 확장 전략은 postman의 성공 요인이면서 동시에, 일부 사용자들에게는 복잡하고 느려진다는 단점으로 지적되기도 해요.

 

Postman,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나요?

postman이 이렇게 유명해진 데에는 다양한 강력한 기능들이 한몫했어요. 가장 기본이 되는 기능은 바로 'API 클라이언트'예요. 코드를 한 줄도 작성하지 않고도 다양한 종류의 API 요청을 만들고 보내서, 서버가 어떤 응답을 하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

 

 

여러 API 요청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이 '컬렉션(Collection)'이에요. 컬렉션은 관련된 요청들을 하나의 폴더처럼 묶어주고, 테스트, 문서화, 모니터링 같은 고급 기능을 사용할 때 기본 단위가 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관리 API'라는 컬렉션 안에 '사용자 생성', '사용자 조회' 같은 요청들을 넣어 관리할 수 있죠.

 

팀원들과 함께 일할 때는 '작업 공간(Workspace)'이 아주 유용해요. 이 공간에서 API, 컬렉션, 환경 설정 등 프로젝트와 관련된 모든 것을 공유하고 함께 작업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경(Environment)' 기능은 개발, 테스트, 운영 등 다양한 환경에 따라 바뀌는 값들(예: API 주소, 인증 토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줘요. 환경을 바꾸는 것만으로 모든 요청에 적용된 변수 값이 한 번에 변경되어 테스트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높여줍니다.

 

 

postman의 스크립팅 기능은 정말 강력해요. API 요청을 보내기 전에 특정 코드를 실행하거나('사전 요청 스크립트'), 응답을 받은 후에 테스트 코드를 실행('테스트 스크립트')할 수 있답니다. 이를 통해 응답 상태 코드를 확인하거나, 특정 데이터 값이 맞는지 검증하는 등 api 테스트를 자동화할 수 있어요.

 

 

 

특히, 컬렉션 러너와 newman이라는 도구를 사용하면 작성된 테스트 스크립트들을 자동으로 연속 실행하고 결과를 리포트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개발 과정을 자동화하고 API 품질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죠.

 

 

아직 개발 중이거나 접근하기 어려운 백엔드 API를 미리 테스트하고 싶을 때는 '모의 서버(Mock Server)'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요. 백엔드 API의 요청과 예상 응답을 미리 정의해두면, postman이 가상의 API 엔드포인트를 만들어줘서 프론트엔드 개발팀이 백엔드 개발을 기다리지 않고도 UI 개발과 통합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답니다.

 

 

마지막으로, '모니터링(Monitoring)' 기능은 운영 중인 API가 잘 작동하는지 계속 감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설정된 주기에 따라 API 요청들을 자동으로 실행하고 테스트 스크립트를 검증해서, 만약 문제가 발생하면 담당자에게 즉시 경고 알림을 보내줄 수 있어요. 이 외에도 API 문서를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자동 문서화', 대규모 조직에서 API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api 거버넌스', 그리고 최근에는 AI 어시스턴트인 'postbot'까지 탑재되어 개발자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주고 있답니다.

 

Postman, 정말 완벽한 도구일까요?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요?

postman은 강력한 기능과 엄청난 인기를 자랑하지만, 모든 면에서 완벽한 도구는 아니에요. 세상에 완벽한 도구는 없겠죠? 현업 개발자들이 말하는 postman의 장점과 단점을 솔직하게 알아볼까요?

 

먼저 장점을 살펴보면, 가장 큰 강점은 역시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예요. 복잡한 코딩 없이도 쉽게 API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확인할 수 있어서, API 지식이 많지 않은 사람도 빠르게 시작할 수 있어요. 또한, API 개발에 필요한 거의 모든 기능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포괄적인 기능 세트'도 빼놓을 수 없죠.

 

팀원들과 함께 일할 때도 postman은 빛을 발해요. 공유 작업 공간, 버전 관리, 요청에 대한 댓글 기능 등 '강력한 협업 기능' 덕분에 팀의 생산성이 크게 높아질 수 있습니다. 테스트 자동화 기능도 아주 탁월해서, JavaScript 스크립트와 newman CLI를 통해 CI/CD(지속적 통합/지속적 배포) 파이프라인에 쉽게 통합할 수 있답니다. 그리고 전 세계 수천만 명의 사용자가 있기 때문에, 문제가 생겼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대한 커뮤니티와 학습 자료'도 큰 장점이에요.

 

하지만 단점도 분명히 존재해요. 가장 많이 지적되는 것은 바로 '성능 문제'예요. 특히 많은 요청이 포함된 컬렉션을 로드하거나 큰 데이터를 처리할 때 앱이 느려지거나 멈추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해요. 이는 postman이 만들어진 기술적인 특성(Electron 프레임워크 기반) 때문이기도 합니다.

 

기능이 계속 추가되면서 인터페이스가 다소 '복잡'해지고 '학습 곡선이 높아진' 것도 단점으로 꼽혀요. 단순한 api 테스트만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너무 많은 기능과 메뉴가 오히려 부담스러울 수 있죠. '가격 정책'도 고려해야 할 부분이에요. 무료 플랜은 기능에 제약이 많아서, 팀 협업이나 자동화 기능을 제대로 사용하려면 유료 플랜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하고, 팀 규모가 커질수록 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답니다.

 

Postman 말고 다른 좋은 도구는 없을까요? (Insomnia, Swagger UI, Hoppscotch)

postman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지만, 특정 목적이나 취향을 가진 개발자들을 위한 멋진 대안들도 많이 있어요. 각 도구는 postman과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답니다.

 

1. Insomnia: 빠르고 가벼움을 추구하는 개발자를 위한 선택

insomnia는 API 게이트웨이 솔루션으로 유명한 Kong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API 클라이언트예요. postman처럼 rest, graphql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죠. insomnia의 가장 큰 특징은 '미니멀리즘'과 '개발자 경험'에 집중한다는 거예요. postman이 점점 기능이 많아지고 복잡해지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해서, 가볍고 빠르면서도 깔끔한 UI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해요.

 

 

insomnia는 OpenAPI 명세서를 기반으로 한 API 설계, 테스트 자동화, ci/cd 통합 같은 기능들을 제공하고, 특히 Git과 직접 연동되는 'git sync' 기능이 강력해서 버전 관리에 익숙한 개발자들에게 아주 매력적입니다. postman보다 가볍고 빠르지만, 커뮤니티 규모나 학습 자료는 아직 postman에 비해 부족하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히기도 해요.

 

2. Swagger UI: API 문서화에 진심인 도구!

swagger ui는 API 문서를 자동으로 만들고 보기 좋게 시각화해주는 오픈소스 도구예요. 이 도구의 핵심은 '문서 중심(Documentation-First)' 접근 방식에 있어요. 즉, API가 아직 개발되지 않았더라도, 잘 정의된 명세서(OAS 파일)만 있다면 개발자나 사용자가 API의 모든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직접 사용해 볼 수 있게 해줍니다.

 

 

swagger ui의 가장 큰 장점은 OAS 파일을 입력받아 상호작용 가능한 멋진 웹 UI를 만들어준다는 거예요. 이 UI에서 각 API 엔드포인트의 상세 정보를 보고, 직접 파라미터 값을 입력해서 요청을 보내보고, 그 응답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postman이 테스트, 자동화, 모니터링 등 api 라이프사이클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 플랫폼'을 지향한다면, swagger ui는 '명확한 문서화'라는 한 가지 목표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답니다. API 설계와 문서화가 가장 중요한 프로젝트라면 swagger ui가 최고의 선택이 될 수 있죠.

 

3. Hoppscotch: 오픈소스와 웹 기반의 자유로움을 사랑하는 도구

과거 'Postwoman'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던 hoppscotch는 100% 오픈소스 API 개발 생태계예요. 이 도구의 가장 큰 특징은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웹 브라우저에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접근성', '속도', '개방성'을 핵심 철학으로 삼아, 무거운 앱 설치나 계정 생성 과정 없이 URL 접속만으로 바로 api 테스트를 시작할 수 있게 해줍니다.

 

 

hoppscotch는 postman의 핵심 기능을 대부분 가지고 있어요. rest, graphql, websocket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컬렉션 관리, 환경 변수 설정, 테스트 스크립트 작성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심지어 기존 postman이나 insomnia 사용자들이 쉽게 넘어올 수 있도록 '원클릭 마이그레이션' 기능도 지원한다고 해요. 완전한 오픈소스이고 모든 기능이 무료라는 점, 그리고 설치가 필요 없는 웹 기반이라는 점은 비용에 민감한 개인 개발자나 소규모 팀에게 아주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내게 맞는 API 테스트 도구는 무엇일까요? (기능별 비교)

이제 postman과 그 대안들을 핵심 기능별로 비교해 보면서 나에게 딱 맞는 도구를 찾아볼까요?

 

 

기능/도구 Postman Insomnia Swagger UI Hoppscotch
UI/UX 철학 기능 중심, 포괄적 미니멀리즘, 개발자 중심 문서 중심, 상호작용형 웹 기반, 경량, 접근성
주요 지원 프로토콜 REST, GraphQL, SOAP, WebSocket 등 REST, GraphQL, gRPC, WebSocket 등 REST (OAS 기반) REST, GraphQL, WebSocket, MQTT 등
테스트 자동화 강력함 (JS 스크립트, Collection Runner, Newman) 준수함 (Test Suites, Inso CLI) 제한적 (UI 통한 수동 테스트) 기본적 (JS 스크립트)
협업 기능 매우 강력함 (Workspace, Team Sync, 버전 관리, 댓글) 강력함 (Teams, Git Sync, 실시간 협업) 제한적 (문서 공유) 준수함 (Team Sync)
문서화 통합적, 자동 생성 기본적, OpenAPI 연동 핵심 기능, OAS 기반 자동 생성 기본적, 컬렉션 기반
확장성 마켓플레이스, 통합 플러그인 생태계 제한적 (UI 커스터마이징) 브라우저 확장, CLI, 오픈소스
가격 모델 Freemium (핵심 기능 유료) Freemium (핵심 기능 유료) 오픈소스 무료 (SwaggerHub는 유료) 오픈소스 무료
핵심 장점 올인원 플랫폼, 생태계 성능, 간결함, Git 통합 OAS 표준 문서화 오픈소스, 웹, 접근성, 무료

 

미래의 API 테스트 도구는 어떤 모습일까요? (AI 통합)

api 테스트 도구 시장은 이제 인공지능(AI)과의 통합으로 또 한 번 크게 변화하고 있어요. postman의 'postbot'이 자연어 명령만으로 테스트 코드를 만들어주거나, insomnia가 OpenAPI 명세서로부터 테스트 스위트의 뼈대를 자동으로 구축하는 사례들에서 볼 수 있듯이, 미래의 API 도구는 훨씬 더 똑똑해질 거예요.

 

 

AI는 복잡한 테스트 시나리오를 만들거나, API 문서 초안을 작성하고, 심지어 API에서 이상 징후나 보안 취약점을 탐지하는 등 개발 과정 전반에 걸쳐 개발자의 생산성을 엄청나게 높여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postman은 API 개발과 관련된 모든 것을 아우르는 거대한 '생태계'를 계속 확장할 것이고, 이에 맞서 insomnia는 뛰어난 '개발자 경험'과 '개방성'을, hoppscotch는 '접근성'과 '완전한 오픈소스'라는 가치로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 할 거예요. 그리고 swagger ui는 OpenAPI 표준의 수호자로서 API 설계와 문서화 분야에서 계속해서 중요한 기준점 역할을 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모든 요구사항을 완벽하게 만족시키는 단 하나의 도구는 없어요. 각 도구는 저마다의 뚜렷한 철학과 장점을 가지고 있으니, 우리 팀의 개발 문화와 작업 방식, 기술 스택, 예산, 그리고 미래의 확장 계획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현명한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답니다.